728x90 반응형 전체 글118 어느덧 자리 잡은 공유오피스 Co-working Space 공유오피스가 한국에 들어온지 10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이제는 서울에서는 너무나 찾기 쉽고 흔한 곳이 되었다. 이전 다녔던 회사들은 모두 사옥이있었고, 간혹 입주할 경우도 오피스텔 형태로 공간만 렌탈하는 형태였었다. 올해 여러 회사와 일하고, 또 프리랜서로 활동하며 기업으로서와 개인으로서 공유오피스를 이용해볼 기회가 있었다. 한국의 공유오피스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서 정리를 해본다. 공유오피스의 세가지 Type 소개 #01. 기업입주로서의 공유오피스 공유오피스의 시작을 찾아보면, *Brad Neuberg 라는 사람이 '혼자 일하는 자유와 공동체의 느낌의 구조를 결합하는 방법'을 고안하다 자신의 집을 공유하는 형태로 2005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첫 공유오피스를 시작했다고 한다. 미국의 공유오피스는 '위워크'.. 2022. 8. 3. 계약서 작성 프로세스 기획직이던 디자이너던 회사에서 일을하면 계약서 프로세스를 러프하게 라도 알아두면 언젠가는 쓰일 일이 있다. 회사에서 일할때 가장 필요하지만, 외주 프리랜서로 일할 수도, 내가 일감을 주는 1인 에이젼시 창업자가 될 때 필요한 내용이다. 계약이 주업무가 아니라서, 자세히 기술은 어렵지만 위의 내용에 근거해 프로세스를 러프하게 정리해 본다. 일반 하도급계약의 형태는 '원사업자 > 발주사 > 수급사업자' 로 구성되고, 하도급 법이 있고 거래대금은 하도급대금이라 한다. 발주사가 원사업자에게 제안을 하여 수주를 하게 되면 계약이 진행이 된다. 이 과정에서 계약서 작성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수있고, 아래와 같다. 1. 일반계약 : 원사업자 - 발주사, 2. 하도급계약 : 원사업자 - 발주사 - 수급사업자 [공통프로세.. 2022. 6. 27. Legal Design 법률 관련 디자인 핀테크 제품 디자인 과정에서 법률, 제약사항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Legal Design 분야에 Design Thinking 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관한 자료조사를 하게되었다. 핀란드에 법률관련 디자인을 전문적으로 하는 에이젼시가 있단 것을 알게되었고 미디엄에 글들이 있어서 관련자료를 해석하면서 정리하고자 한다. 사실 여기서 말하고 있는 Legal Design 과 내가 조사하고 있는 Legal 의 분야는 좀 다른것 같다. 하지만 접근방식에 있어서, 전혀 무관해 보이는 이 영역에 디자인 씽킹이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와 관점의 전환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핀란드 Legal Design Agency https://www.dot.legal/ Dot. | Legal Design Cons.. 2022. 2. 11. [번역]감사와 의도를 명령메시지로 정해두고 쉽게 일기쓰기 구글 노션 기본 포멧에 있는 글 몇가지 중에 Journal 포맷 하나가 흥미로웠다. 예시 글에 대한 내용이 궁금했다. 해당글은 요약되어있었어서, 아래정도의 내용이였다. # Intentions 1. ... 2. ... 3. ... # Happenings # Grateful for 1. ... 2. ... 3. ... # Action items 그 키워드로 검색해보았고, 좋은 포스팅을 찾아서 공유하려고 정리한다. (구글번역기가 자동으로 안돌아가서 ㅠ 읽기쉽게 번역 정리할겸) 검색 고고 > Intentions Happenings Grateful Action items 아래글을 요약하자면 하루를 정리하는 포맷을 이렇게 해보자! 기록 시기 : 하루를 시작할때, 끝낼때 두번기록 내용 : - 아침 [ 목표, # In.. 2022. 1. 28. 이전 1 2 3 4 5 6 ··· 30 다음 728x90 반응형